top of page
Tapis.jpg

Comfort zone 

Zone de confort 

안전지대

Photography series

24 x 30 cm

Tapis 2.JPG

français ↓ 

한글 ↓↓

Ce qui est sous mes pieds est un tapis doux. C’est ‘ma zone de confort’. Mais c’est petit. Car je n’avais pas beaucoup d’éléments de confort. J’avais envie d’être dans ma zone. Alors quand je rencontrais des gens, j’avais l’impression de me tenir sur la pointe des pieds, comme sur la photo. Je voulais donc juste que ce moment passe rapidement et je veux me reposer. En fait, ce n’était pas un travail pessimiste. Il y avait des moments où l’espace était plus restreint. À cette époque, je ne pouvais pas rencontrer de personnes. Parce que j’étais déjà bien assez fatiguée de me tenir debout. En fait, pendant longtemps, je me suis concentré sur l’augmentation de la taille du tapis, mais maintenant, j’apprends la prochaine étape. Il faut croire qu’être en dehors de ma zone de confort n’est pas mal. Il faut de la pratique.

Le tapis plus petit est trop étroit pour que deux pieds puissent y entrer. De la douceur et du confort du tapis ne restent que la taille des morceaux restants, et la personne qui se tient dessus a l’air très mal à l’aise. En regardant le tapis sur l’aire de repos dans la pièce, j’ai pensé qu’il servait à séparer arbitrairement le lieu de repos des autres espaces. Même s’il n’est pas réellement séparé par un mur, il joue un rôle de séparation de l’espace, notamment du sens du lieu selon le type d’activité. Dans ce point de vue, j’ai pensé que la séparation de l’espace avait un effet plus important sur la partie idéologique que sur le matériel réel, et je l’ai comparée à l’esprit intérieur, un des sujets de ma recherche, et le domaine de la stabilité émotionnelle qui s’y trouve. De plus, le sentiment de stabilité de cette zone a été exprimé en empruntant la caractéristique d’un tapis confortable et doux, et en même temps, la taille a été définie différemment de celle d’un tapis général pour en révéler visuellement la déficience.

 

내 발아래에 부드럽고 편안한 카펫이 있다. 이건 나의 안전지대와 같다. 그런데 그 크기가 너무 작다. 이 협소한 공간은 나의 삶에서 나에게 편안함을 주는 요소가 많이 없었음을 보여준다. 나는 이 좁은 안전지대에 머무르기를 갈망한다. 두려움에서 비롯한 그 집착 덕분에, 사람들을 만날 때는 나는 언제나 긴장된 상태로, 마치 내 구역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발끝을 들고 서 있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이것은 비관적인 이야기만은 아니다. 나는 내 이전의 상태를 기억한다. 그 당시 나는 마치 한 발로, 겨우 내 몸을 지탱하며 버티느라 사람들을 만날 수조차 없었다. 나는 다가서는 시도 이전에 이미 완전히 지쳐있었다. 오랫동안 나는 나의 카펫의 크기를 키워야 한다고 믿으며 애써왔다. 그러다 다행히, 요즘은 다른 방법을 배우고 있다. 안전지대 바깥에 발을 내딛어도 나는 안전하다고 믿는 것. 천천히,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일이다.

작아진 카펫은 두 발이 들어가기에도 턱없이 협소하다. 카펫의 부드러움, 편안함은 남은 조각의 크기만큼 남아있고, 그 위에 올라서 있는 사람은 매우 불편해 보인다.

 

본인은 집 안에 편안한 장소에 깔린 카펫을 보며, 그것이 다른 공간과 휴식 공간을 임의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것은 실제로 벽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음에도 바닥에 색을 다르게 한 것만으로 그러한 공간 분리, 특히 활동 장소의 의미 분리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인은 영역을 분리하는 것은 실제의 물질보다는 관념적인 부분의 영향이 더 크다고 보았고, 이를 본인의 연구 주제인 ‘내면의 상태’ 중 정서적인 안정감 영역의 존재에 비유해 보았다. 또한, 그 영역의 감각인 안정감을 편안하고 부드러운 카펫이라는 사물의 특성을 빌려 와 표현하였으며, 동시에 그 크기를 일반적인 카펫의 크기와 다르게 설정해 내면의 문제, 결핍된 부분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bottom of page